API 아키텍쳐의 6가지 대표 스타일 (RESTWebhookWebSocketGraphQL 등)
API 아키텍쳐의 6가지 대표 스타일 (RESTWebhookWebSocketGraphQL 등)
SOAP, GraphQL, WebHook 등 용어만 들어보고 어떤 것인지 정확히 잘 몰랐었는데요, 미디엄의 간략한 글을 통해 공부해보았습니다.
특히 Webhook의 사용 사례와 REST 방식의 무상태성에 대한 설명에 대해 추가하였습니다!
6 Popular API Architecture Styles
gRPCA
- “Google Remote Procedure Call” 의 약자
- 언어에 구애받지 않아, 다양한 언어로 구현된 마이크로서비스 설계 프로그래밍에 적합
- 프로토콜 버퍼(protobufs)를 사용하여 메시지 크기가 작고, 통신 속도가 빠르다. (=> 효율적 데이터 직렬화)
- 마이크로서비스 구축에 자주 사용되어, client-server / server-server 통신에 모두 사용 가능하다.
SOAP
- “Simple Object Access Protocol”의 약자
- XML 기반의 메시지 형식을 가지며, 고도로 구조화되고, self-describing이 가능하다.
- 엄격한 표준과 메시지 형식이 정해져 있어서, 다른 웹 서비스 프로토콜에 비해 유연성이 떨어진다.
- HTTP, SMTP 등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한다.
- 안정성, 보안 기능, 복잡한 트랜잭션 지원에 적합하다.
GraphQL
- GraphQL은 API를 위한 쿼리 언어이자 런타임으로, 클라이언트가 필요한 데이터를 정확하게 요청할 수 있도록 해준다. (클라이언트가 너무 많은 데이터를 가져오거나, 필요한 데이터를 충분히 못가져오는 문제를 줄여준다.)
- REST API는 각 요청에 대해 고정된 엔드포인트를 사용하지만, GraphQL은 모든 쿼리와 변경 작업을 하나의 엔드포인트로처리한다. (하나의 엔드포인트로 다양한 데이터를 자유롭게 요청할 수 있다.)
- REST API는 클라이언트가 이미 정해진 엔드포인트에서 미리 정의된 데이터만 가져올 수 있는데, 이와 달리 GraphQL은 클라이언트가 원하는 필드를 직접 지정해 요청할 수 있다.
- introspection 기능이 있어, 클라이언트가 GraphQL 스키마에 어떤 타입과 작업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즉, 어떤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는지 미리 스키마를 통해 알 수 있어 유연하게 사용할 수 있다.
- 모바일 앱처럼 데이터 요구 사항이 동적인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하다. (REST보다 유연하고 효율적인 API 구축이 가능하다.)
Webhook
- 어플리케이션과 시스템 간의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메커니즘이다.
- 한 어플리케이션이 다른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한 미리 정의된 URL로 HTTP POST 요청을 통해 특정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이를 알리거나 트리거를 거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 예를 들어,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면(예: 사용자 결제 완료) 즉시 다른 어플리케이션으로 해당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웹훅으로 전달한다.
- 보통 이벤트 중심의 아키텍쳐에서 사용되고, 알림을 보내거나 업데이트를 전달하거나 자동화된 프로세스를 실행하는데 유용하다.
[ 사용 사례 ]
결제 시스템 알림 (Stripe, PayPal 등)
- 결제 플랫폼에서 사용자가 결제를 완료하면, 결제 완료 정보를 웹훅을 통해 다른 애플리케이션(예: 쇼핑몰 백엔드 서버)으로 전달한다. 이를 통해 결제 상태 업데이트나 주문 처리 자동화가 가능하다.
- 쇼핑몰 서버 → PayPal: 쇼핑몰 서버는 고객이 결제를 요청하면 PayPal에 결제 요청을 보냄.
- PayPal → 쇼핑몰 서버 (웹훅): 결제가 완료되면, PayPal은 웹훅을 통해 쇼핑몰 서버에 결제가 완료되었음을 알림.
깃(Git) 푸시 알림
- 개발자가 Git 저장소에 코드를 푸시(push)할 때, 웹훅을 설정하면 저장소에 새 코드가 추가되었음을 CI/CD 도구(예: Jenkins, gitlab Pipeline)에게 알려준다. 이렇게 하면 코드를 자동으로 빌드하고 테스트할 수 있다.
채팅봇 알림
- 슬랙(Slack)이나 디스코드(Discord) 같은 채팅 애플리케이션에서 특정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웹훅을 통해 자동으로 알림 메시지를 보낸다. 예를 들어, 서버 상태 모니터링 도구가 서버에 문제가 발생하면 해당 정보를 실시간으로 슬랙 채널로 알리는 것이다.
CRM 시스템 연동
- 고객 관계 관리(CRM) 시스템에서 새로운 고객이나 리드가 추가되면 웹훅을 통해 이를 마케팅 도구나 이메일 마케팅 시스템에 실시간으로 전송하여 자동으로 캠페인을 시작하거나 고객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메일 마케팅
- 이메일 마케팅 플랫폼에서 구독자의 상태가 변했을 때(예: 구독 취소) 웹훅을 사용해 CRM 시스템이나 다른 애플리케이션으로 즉시 알린다. 이를 통해 마케팅 전략을 실시간으로 조정할 수 있다.
REST
-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HTTP를 통해 데이터를 통신할 수 있도록 해준다.
- REST API는 리소스(데이터)를 URL로 표현하고, 이를 조작하기 위해 표준 HTTP 메서드를 사용한다.
- REST 는 Stateless(무상태성)을 지향한다. 즉, 서버는 각 클라이언트의 상태를 저장하지 않고 (세션 정보, 요청 간의 연결 상태 등) , 클라이언트의 각 요청에 필요한 모든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야 한다.
- 서버는 각 요청을 독립적으로 처리하여 이전 요청의 상태를 저장하거나 유지하지 않음
- 클라이언트는 서버에 요청을 보낼 때, 서버가 요청을 처리하는 데 필요한 모든 정보를 요청에 포함시켜야 한다. <-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상태를 저장하지 않기 때문에 각 요청은 그 자체로 완전한 정보여야 한다.
예를 들어:
- 클라이언트가 첫 번째 요청으로 서버에 로그인을 했다면, 서버는 이 요청을 처리하고 응답할 때 토큰을 발급할 수 있습니다.
- 두 번째 요청에서 클라이언트가 데이터를 요청할 때, 클라이언트는 이전에 받은 토큰을 포함해서 서버로 요청을 보내야 합니다. 서버는 이전 요청의 상태를 기억하지 않기 때문에, 클라이언트가 다시 보내는 이 토큰을 기반으로 인증을 확인합니다.
WebSocket
-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양방향 실시간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프로토콜이다.
- 한 번 연결이 성립되면, 수명이 긴 단일 연결을 유지하면서 양쪽에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주고받을 수 있다.
- 양방향 통신으로,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이 없이도 데이터를 보낼 수 있으며, 클라이언트도 마찬가지이다.
- 실시간 데이터 전송을 필요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에 적합하다. (채팅, 게임, 금융거래 플랫폼 등)
- HTTP는 요청마다 새로 연결을 맺고 응답을 받은 후 연결을 끊지만, WebSocket은 단일 연결을 유지하여 이를 유지한다.
HTTP는 실시간 데이터를 주고 받으려면 주기적으로 완료가 되었는지 클라이언트에서 서버에 요청을 보내는 방식(poliing)을 사용해야 해서 오버헤드와 지연을 초래할 수 있다.
- 지속적으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어 지연시간이 줄어들고, 네트워크 자원을 절약할 수 있다.
- HTTP에 비해 구현이 복잡하고, 서버 측에서 많은 동시 연결을 처리해야 해서 복잡한 리소스 관리가 필요하다. 또한 지속적인 연결 유지를 위해 메모리와 네트워크 리소스 소모가 크다. 보안 관리가 까다롭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