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머 파푸리카

[Google AI Webinar] 'LLM이 물처럼 흐르는 서비스와 콘텐츠 만들기' 웨비나 요약 및 주요 내용 정리

오늘 Google Cloud에서 진행한 <LLM이 물처럼 흐르는 서비스와 콘텐츠 만들기> AI 웨비나에 참여하여 유용한 내용들을 들어보았습니다. 1. 작은 팀의 AI Transformation을 돕는 구글 클라우드 (오심인) 💡 기업에서 AI를 도입할 때 주요 아이템들 내부 생산성 향상 툴 코드리뷰 자동화 법률 검수 자동...

첫 회사를 떠나며, 아주 개인적인 감상

만 4년 간 근무했던 회사를 마무리했다. 남은 근무일은 잔여 연차를 사용해서 아직 법적으로는 재직 중이지만, 여튼 백수 1일차임은 맞다! 오늘 안쓰면 쭉 안쓰게 될 것 같아, 지금 지난 회사를 떠난 아주 개인적인 회고를 작성해보려 한다. 시작 우선 내가 회사에 다니게 된 시작부터 기록하는 것이 좋겠다. 문화관광콘텐츠학과와 국어국문학이라는 다소...

좋은 시니어 엔지니어로 성장하기 위한 방향들(feat. 토스강연 <서버개발자가 들려주는 시니어의 성장>)

오늘 토스 강연 "서버개발자가 들려주는 시니어의 성장"의 웨비나에 참여해 좋은 이야기들을 들어보았습니다! 정리한 내용을 기록하고, 공유하기 위해 글을 작성합니다. 😀 세션 1: 엔지니어에서 메이커로 (김현준님) 중요한 것은 모두에게 의미있는 가치를 만드는 것 =&gt; 큰 관점에서 사용자에게 진정한 가치를 줄 수 있는 것인지 판단하는 사고! ...

[Agile] 애자일 프로젝트란? 기본 개념과 3원칙!

Agile 개요 Agile은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 중 하나로, 개발자가 분석, 설계, 개발, 테스트의 모든 프로세스에서 주도적으로 결정할 수 있도록 권한이 부여되는 것을 강조합니다. Agile 방식에서는 개발자들이 자율성을 가지고 업무를 진행하며, 이는 성공적인 프로젝트 수행에 필수적입니다. 요구사항 정의와 고객 피드백 Agile 환경에서는 ...

GitLab Multi-Project Pipelines로 CI/CD 최적화하기 : 적용 사례

혹시 Gitlab의 CI/CD 파이프라인을 구성하시면서, A 프로젝트에서 CI/CD 작업이 완료되면 B 프로젝트의 CI/CD 작업을 자동으로 실행하고 싶은 경험이 있으셨나요? 저도 이번에 PF팀의 메인 프로젝트의 파이프라인의 속도가 너무 오래 걸려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 프로젝트 분리를 진행했는데요, 이 과정에서 Gitlab의 Multi-Pro...

KAG(Knowledge Augmented Generation): LLM과 지식그래프의 강력한 조합!

지난 번 RAG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떠오르는 대안인 CAG와 KAG 소개 및 비교 글을 올렸었습니다! 그 후에 KAG에 대해 더 궁금해져서 조금 더 깊어 알아보았습니다 🤗 1. 기존 RAG의 한계 지금까지 우리는 LLM에 학습되지 않은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주입하기 위해 RAG를 많이 사용했었습니다. 하지만 RAG는 몇 가지 치명적 한계가 ...

[Trouble Shooting] GitLab CI/CD에서 Group Token 권한 문제!

개발을 하다 보면 같은 그룹 내에서 CICD를 통해 레포지토리를 클론 받고, 커밋하고, 푸시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를 위해 GitLab CI/CD에서 Group Token을 활용하려 했으나, 예상치 못한 권한 문제를 겪었습니다. 이 문제를 해결한 과정을 공유합니다. 작업 개요 CI/CD 파이프라인을 통해 같은 그룹 내에 있는 repos...

API 과부하 방지의 핵심, 처리율 제한 장치 설계 가이드

이번 글에서는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처리율 제한 장치(Rate Limiter)를 설계한 아키텍쳐 다이어그램을 중심으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1. 처리율 제한 장치란? 클라이언트 또는 서비스가 보내는 트래픽의 처리율(rate)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입니다. 예를 들어 HTTP의 경우, 특정 기간 내 전송되는 클라이언트의 요청 횟수를 제한하는 ...

대규모 트래픽 시스템 아키텍쳐 : 개요와 핵심 요소

대규모 트래픽을 처리하는 시스템을 설계하는 것은 웹 개발자와 인프라 엔지니어들에게 중요한 주제입니다. 이 글에서는 &lt;가상면접 사례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기초&gt; 책의 첫 번째 단원을 참고해서, 대규모 트래픽 시스템의 전반적인 아키텍쳐와 핵심 개념과 기법을 정리하고자 합니다. 대규모 트래픽을 대응하기 위해 단계적으로, 부분적으로 도입...

Google의 `Agents` 백서로 알아보는 AI Agent! (2): Extension과 Function 중심

지난 글에서 자세히 다루지 못했던 Extension과 Function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Agent에 대해 전반적인 내용 설명은 지난 글을 참고해주세요! Google의 AI 에이전트 백서에서는 Extension(확장)과 Function(함수 호출)을 에이전트가 외부 데이터를 활용하는 두 가지 주요 방법으로 설명합니다. 두 개...